국내 News[더챌린지 리포트] 2025년에 돌아보는 2024년! 한국 어드벤처 관광 시장 분석: 신규 시설 개장 및 전략적 시사점

[더챌린지 리포트] 2025년에 돌아보는 2024년! 한국 어드벤처 관광 시장 분석: 신규 시설 개장 및 전략적 시사점

by thechallenge

제 1장: 요약

1.1 2024년 시장 신규 진입자 개요

2024년 대한민국 어드벤처 관광 시장은 지방 자치 단체 주도의 대규모 투자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한 해로 기록된다. 올해 시장에 진입한 주요 시설은 선샤인 밀양 테마파크, 화순 어드벤처 챌린지 93, 영주 어드벤처 캐슬이다. 이들은 각각 고유한 개발 모델과 목표 시장을 설정하며 시장의 다각화를 이끌고 있다. 또한, 기존 시설인 홍성 남당항 네트어드벤처는 신규 랜드마크와의 연계를 통해 전략적으로 재조명받는 사례를 보여주었다. 본 보고서는 이들 시설의 개장 순서에 따라 각 사례를 심층 분석하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1.2 주요 전략 동향

분석 결과, 2024년에 등장한 신규 시설들은 세 가지 뚜렷한 개발 모델로 분류할 수 있다.

  1. ‘목적지 창출형’ 모델: 대규모 민관 합작 투자를 통해 숙박, 식음, 체험을 아우르는 체류형 관광 허브를 조성하는 전략이다. 선샤인 밀양 테마파크가 이 모델의 대표적인 사례다.
  2. ‘공공 서비스 및 교육형’ 모델: 수익 창출보다는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과 교육적 가치 실현을 최우선 목표로 하는 공공 자금 기반의 시설이다. 화순 어드벤처 챌린지 93이 여기에 해당한다.
  3. ‘틈새 매력 보강형’ 모델: 지역이 보유한 기존의 역사, 문화, 자연 관광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보완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배치된 중규모 체험 시설이다. 영주 어드벤처 캐슬이 이 모델을 따른다.

1.3 시장 전반에 대한 시사점

2024년의 동향은 관광 인프라 투자에서 지방 및 지역 정부의 역할이 점차 증대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신규 시설의 성공은 독립적인 매력도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지역 자산과의 유기적인 시너지를 창출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는 점이 핵심적인 시사점이다. 이는 향후 어드벤처 시설 개발이 지역 발전 전략과 얼마나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제 2장: 시장 배경 – 한국 체험 관광의 진화하는 지형

2.1 포스트-팬데믹 시대의 국내 및 활동적 레저로의 전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여행 선호 현상이 뚜렷해졌으며, 수동적인 관광보다는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즐기는 체험형 레저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급증했다. 이러한 거시적 트렌드는 2024년 어드벤처 및 챌린지 시설 건설 붐의 배경이 되었다. 안전하고 가까운 곳에서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소비 심리가 국내 어드벤처 관광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2.2 지역 소멸 대응을 위한 지방 정부의 역할

수도권 외 지역의 지방 자치 단체들은 인구 감소와 경제 침체라는 구조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관광 개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선샤인 밀양 테마파크에 투입된 4,640억 원의 사업비 1나 영주시가 주도하는 영주호 주변 관광 활성화 사업 2 등은 이러한 경향을 입증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이들 프로젝트는 단순한 레저 시설 건설을 넘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생활 인구를 유치하기 위한 중장기적 투자라는 성격을 띤다.

2.3 경쟁 환경 분석

국내 테마파크 및 어드벤처 시장은 에버랜드, 롯데월드와 같은 대기업 운영 시설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각 지역별로 경주월드, 이월드 등 중견 공원들이 경쟁하는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3 2024년에 개장한 신규 시설들은 이러한 기존의 경쟁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명확한 차별화 전략을 필요로 한다. 이들은 대규모 자본을 앞세운 전면전보다는, 지역적 특색을 극대화하거나 특정 고객층을 공략하는 방식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제 3장: 2024년 신규 개장 시설 상세 분석 (개장일 순)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2024년 신규 어드벤처 시설들의 핵심 지표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아래 표를 제시한다. 이 표는 각 시설의 전략적 포지셔닝과 재무적 특성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표 3.1: 2024년 신규 어드벤처 시설 비교 개요

시설명 및 위치2024년 공식 개장일주요 시설 유형총 투자비 (원)핵심 규모 지표목표 고객층개발 모델
선샤인 밀양 테마파크 (경남 밀양)2024년 5월 4일복합 테마 단지4,640억916,312㎡ 면적, 리조트, 골프장 포함가족, 국내 관광객목적지 창출형
화순 어드벤처 챌린지 93 (전남 화순)2024년 6월 18일하이로프 코스28억93개 코스, 253m 곡선형 하강 시설광주 지역 학생공공 서비스 및 교육형
영주 어드벤처 캐슬 (경북 영주)2024년 9월 14일복합 어드벤처 타워정보 없음높이 18m, 103개 코스가족, 지역 관광객틈새 매력 보강형

3.1 선샤인 밀양 테마파크

  • 공식 개장일: 2024년 5월 4일 1

3.1.1 시설 소개

  • 규모 및 투자: 총 사업비 4,640억 원을 투입하여 밀양시 단장면 미촌리 일대 916,312㎡ 부지에 조성된 초대형 프로젝트다.1 이는 단순한 놀이공원을 넘어선 주요 지역 개발 사업으로서의 위상을 보여준다.
  • 시설 구성: 농촌체험, 6차산업, 휴양, 스포츠, 생태관광이 어우러진 ‘복합테마단지’를 표방한다. 단지 내에는 파머스 마켓, 스포츠 시설, 생태관광시설, 18홀 골프장과 리조트 등이 포함되어 있어 다각적인 경험을 제공한다.1 이러한 복합 구성은 이 시설의 핵심 전략이다.
  • 목표 및 성과: 명시된 목표는 ‘사계절 머물며 즐길 수 있는 체류형 복합테마단지’를 구축하는 것이다.1 개장과 동시에 대규모 ‘밀양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축하 콘서트와 어린이날 행사를 진행했으며, 이는 초기부터 높은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하고 대규모 방문객을 유치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1

3.1.2 긍정적 평가 및 특이점

선샤인 밀양 테마파크의 가장 큰 차별점은 관광과 지역 농업 경제(6차 산업)를 융합한 ‘올인원(all-in-one)’ 모델에 있다.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최현석 셰프의 쿠킹쇼 4에서 볼 수 있듯이, 방문객에게 농업, 음식, 휴양, 스포츠를 아우르는 폭넓은 경험을 제공하여 매우 넓은 인구 집단을 목표로 한다. 이 통합 모델은 다양한 수익원을 창출하고 단일 어트랙션 유형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

3.1.3 주변 관광지와의 시너지

기존 관광지를 보완하기 위해 설계된 다른 시설들과 달리, 선샤인 밀양 테마파크는 스스로가 밀양 지역 관광의 중심 허브이자 핵심 명소(anchor attraction)가 되도록 설계되었다. 이 시설의 성공은 다른 이유 없이 오직 이곳을 방문하기 위해 밀양을 찾는 관광객을 창출하고, 이들을 단지 내에 장시간 체류시키는 능력에 달려 있다. 따라서 시너지는 외부 관광지가 아닌, 단지 내 다양한 구성 요소들 사이에서 내부적으로 발생한다.

이 프로젝트는 비수도권 도시가 지역의 관광 및 경제적 정체성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해 시도하는 고위험-고수익(high-risk, high-reward) 전략의 전형을 보여준다. 이는 정부 주도 ‘목적지 창출’의 중요한 사례 연구 대상이다. 4,640억 원이라는 막대한 자본 투입은 단순한 공원 조성을 넘어선 변혁적 인프라 구축을 의미한다.1 ‘체류형’ 단지를 지향한다는 목표는 숙박, 식음, 활동 등 관광객의 여정 전체를 포착하여 지역 내 소비를 극대화하려는 야심을 드러낸다. 이는 지역 소멸 위기에 대한 정책적 대응으로, 성공 여부는 유사한 대규모 관광 투자를 고려하는 다른 지방 정부들에게 중요한 벤치마크가 될 것이다.

3.2 화순 어드벤처 챌린지 93

  • 공식 개장일: 2024년 6월 18일 (다수 자료에 2025년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5, 2024년 4월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했고 6, 6월 18일에 개장식을 개최한 점 7으로 보아 2024년이 정확한 개장 연도임)

3.2.1 시설 소개

  • 규모 및 투자: 상대적으로 적은 28억 원의 총사업비 6를 투입하여 ‘국내 최대 규모의 복합 모험활동시설’을 조성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93개의 다양한 챌린지 코스를 갖추고 있다.5
  • 핵심 임무: 이 시설은 광주광역시교육청 학생교육원 소속으로 7, 주된 목적은 학생들의 수련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다.6
  • 성과 및 비용: 성과는 수익이 아닌 참여율로 측정된다. 연말까지 총 8천여 명의 학생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6, 학생들을 위한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로 제공된다.5

3.2.2 긍정적 평가 및 특이점

가장 독창적인 특징은 롤러코스터와 집라인을 결합한 253m 길이의 곡선형 하강 시설과 18m 높이의 ‘스카이점프’를 동시에 갖춘 국내 최초의 시설이라는 점이다.5 이러한 혁신적인 하드웨어는 공공 서비스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활용된다. 스릴 넘치는 활동과 구조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결합하여 학생들이 도전과 성취감을 배우도록 돕는 독특한 교육의 장을 제공한다.6

3.2.3 주변 관광지와의 시너지

시설은 전남 화순에 위치하지만 주된 이용자는 광주 지역 학생들이다. 따라서 직접적인 시너지는 전통적인 관광 명소보다는 교육 커리큘럼과 발생한다. 그러나 이 시설이 화순 지역으로의 교육 현장학습을 유치하는 거점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화순 적벽이나 운주사 같은 주변 문화 유적지 방문과 연계한다면 새로운 ‘교육-관광(edu-tourism)’ 클러스터를 형성할 잠재력이 있다.10

‘어드벤처 챌린지 93’은 공공 교육 인프라의 개념을 재정의하는 사례다. 이는 교육 당국이 고가의 스릴 넘치는 레크리에이션 하드웨어를 교육학적 발달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 교육 철학의 전환을 의미한다. 투자 수익률(ROI)이 재무적 이익이 아닌 학생의 성장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교육 당국이 7 28억 원을 투자하여 6 상업 어드벤처 파크와 유사한 시설을 만들었지만 학생들에게는 무료로 제공한다는 점 5은 이 시설의 ‘고객’이 학생이며 ‘상품’은 ‘도전과 성취감’ 6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이 시설을 상업 레저 시장과 완전히 분리시킨다. 이 모델은 향후 전국 학생 수련원이 전통적인 캠프장이나 강의실에서 벗어나 체험 학습 환경으로 발전하는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어드벤처 시설 건설 기업에게는 교육 당국을 직접 대상으로 하는 독특한 B2G(Business-to-Government) 시장 기회를 제시한다.

3.3 영주 어드벤처 캐슬

  • 공식 개장일: 단계적 개장. 2024년 6월 15일 시험 운영 시작 13, 7월 17일 정식 개장 13 후, 9월 14일부터 대대적인 개장 기념 이벤트를 시작했다.2 본 보고서는 대중에게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9월 14일을 핵심적인 공개 시점으로 간주한다.

3.3.1 시설 소개

  • 규모 및 특징: 높이 18m의 수직형 ‘익스트림 레포츠 시설’로, 총 103개의 다양한 어드벤처 코스를 갖추고 있다.2 정상에 위치한 전망대에서는 아름다운 영주호의 풍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적인 특징이다.15
  • 비용 및 가격 전략: 일반 성인 기준 이용 요금은 2만 원이다. 그러나 10월 31일까지 진행되는 파격적인 개장 기념 이벤트를 통해 일반 방문객에게는 50% 할인된 1만 원, 영주 시민에게는 75% 할인된 5천 원에 이용 기회를 제공한다.2 이러한 공격적이고 차등적인 가격 정책은 초기 시장 안착을 위한 핵심 전략이다.
  • 기대 효과: 명시된 목표는 영주호 주변 관광을 활성화하고, 영주시의 기존 관광 자산을 보강하여 이 지역을 ‘문화·건강·스포츠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는 것이다.2

3.3.2 긍정적 평가 및 특이점

이 시설의 가장 큰 강점은 스릴 넘치는 신체적 도전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 감상을 성공적으로 결합했다는 점이다. 실내나 숲속에 위치한 다른 코스들과 달리, 수직적 구조와 입지 조건을 활용하여 영주호의 풍경 자체를 체험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만들었다.18 이는 스릴을 추구하는 사람들과 독특한 사진 촬영 기회를 찾는 방문객 모두를 만족시키는 요소다.

3.3.3 주변 관광지와의 시너지

영주 어드벤처 캐슬은 관광 포트폴리오 다각화의 교과서적인 사례다. 영주의 관광 브랜드는 부석사, 소수서원 등 유서 깊은 역사 문화 자산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왔다.17 어드벤처 캐슬은 이 지역에 이전에는 부족했던 현대적이고 역동적이며 가족 친화적인 ‘활동적’ 요소를 추가한다. 이는 새로운 인구 집단이 영주를 방문할 이유를 제공하고, 기존 방문객들이 체류 기간을 연장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낳는다.

영주시가 채택한 공격적인 시민 할인 전략은 지속 가능한 운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정교한 접근법이다. 관광객 대상 50% 할인에 비해 영주 시민에게 75%라는 파격적인 할인율을 적용한 것 2은 단순한 판촉 행사를 넘어선다. 이는 충성도 높은 지역 이용자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다. 지역 주민은 다회 방문 가능성이 높고, 방문하는 친구나 가족을 데려올 수 있으며, 외부 관광객이 적은 주중이나 비수기에도 꾸준한 방문을 통해 시설의 안정적인 운영에 기여한다. 이 모델은 계절적 관광 수요 변동에 따른 재정적 위험을 완화한다. 지역 기반의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함으로써, 시설의 재정 안정성은 경쟁이 치열하고 예측 불가능한 전국 관광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게 된다. 이는 지역 기반 관광 명소의 운영 지속 가능성을 위한 중요한 교훈을 제시한다.

제 4장: 특별 분석 – 홍성 남당항 네트어드벤처의 재조명

4.1 타임라인 명확화

먼저, 홍성 남당항 네트어드벤처는 2023년에 준공 및 개장한 시설로 20, 2024년의 ‘신규’ 시설은 아님을 명확히 한다. 본 분석의 초점은 2024년에 진행된 주요 전략적 재조명 및 프로모션 캠페인에 맞추어져 있다.

4.2 2024년의 시너지 전략

  • 촉매제: 2024년 전략의 핵심은 네트어드벤처의 프로모션을 2024년 5월 14일에 개장한 인근의 새로운 랜드마크 ‘홍성스카이타워’와 직접적으로 연계한 것이다.23
  • 실행 방식: 스카이타워 입장권을 소지한 방문객이 네트어드벤처를 방문할 경우, 외지인 기준 40%의 높은 할인율을 제공하는 공동 할인 프로그램을 시행했다.23 이는 방문객들이 두 시설을 모두 경험하도록 유도하는 직접적인 재정적 인센티브를 창출했다.
  • 결과: 이 캠페인은 네트어드벤처를 효과적으로 ‘재출시’하는 결과를 낳았다. 대중의 광범위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고, 남당항이라는 더 큰 관광 ‘패키지’의 일부로 포지셔닝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관광공사가 ‘5월에 가볼 만한 곳’으로 선정한 사실 27은 이러한 새로운 인지도 확보 전략이 성공했음을 반영한다.

홍성군의 사례는 ‘관광 자산 클러스터링’의 모범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이는 지방 자치 단체가 신규 인프라(스카이타워)의 투자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이를 마케팅 엔진으로 활용하여 기존 자산(네트어드벤처)을 활성화하고 그 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두 개의 개별적인 명소를 공동 마케팅 및 할인 캠페인으로 연결함으로써 23, 홍성군은 스카이타워 개장으로 생성된 언론과 대중의 관심을 기존 시설로 자연스럽게 유도했다. 이는 네트어드벤처를 위해 별도의 대규모 마케팅 예산을 집행하는 것보다 훨씬 자본 효율적인 방식이다. 40% 할인은 이러한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비용으로, 독립적인 마케팅 캠페인 비용보다 훨씬 저렴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전략은 지역 관광 개발을 위한 매우 효율적이고 복제 가능한 모델이다. 관광 명소를 개별 단위로 보지 않고, 순차적으로 개발하고 연계함으로써 지속적인 마케팅 동력을 창출하고, 개별 자산의 합보다 더 큰 가치를 지닌 매력적인 관광 클러스터를 구축할 수 있다.

제 5장: 비교 분석 및 시장 시사점

5.1 세 가지 모델 이야기

2024년 시장에 나타난 ‘목적지 창출형'(밀양), ‘공공 서비스형'(화순), ‘틈새 보강형'(영주) 모델은 각각 다른 접근법을 보여준다.

  • 자금 조달 및 위험: 고위험 민관 합작 투자 대 안정적인 정부 교육 예산 대 목표 지향적 시 관광 기금.
  • 목표 고객 및 시장 범위: 광범위한 전국 관광객 대 특정 청소년 집단 대 기존 지역 관광객 및 가족.
  • 성공의 척도: 경제적 파급 효과 및 방문객 수 대 교육적 성과 및 참여율 대 지역 관광 포트폴리오의 다각화.

이 세 가지 모델은 각기 다른 목적과 환경 속에서 탄생했으며, 이는 미래의 어드벤처 시설 개발이 단 하나의 성공 공식에 의존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5.2 공공 부문의 지배력

분석된 모든 모델에서 공공 부문의 주도와 자금 지원이 압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은 중요한 시사점이다. 이는 민간 부문이 수도권 외곽 지역에서 대규모 어드벤처 관광 프로젝트를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데 주저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와의 파트너십이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5.3 새로운 성공 요인의 부상

결론적으로, 이 시장에서의 성공은 시설의 하드웨어 자체보다 전략적 ‘통합’에 더 크게 좌우된다. 그것이 농업과의 통합(밀양), 교육과의 통합(화순), 또는 기존의 경관 및 문화 자산과의 통합(영주, 홍성)이든, 가장 유망한 벤처는 더 넓은 지역적 맥락에 깊이 뿌리내린 프로젝트들이다. 고립된 섬처럼 운영되는 시설은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제 6장: 전략적 전망 및 제언

6.1 투자자 및 개발자를 위하여

  • ‘틈새 보강형’ 모델에 집중할 것을 권장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으로 높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강력하고 확립된 관광 정체성을 가졌으나 활동/어드벤처 요소가 부족한 지역을 발굴하는 것이 핵심이다.
  • ‘공공 서비스형’ 모델은 잠재적인 B2G 시장을 열어준다. 건설 및 설계 회사는 교육 당국과의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6.2 지방 및 지역 정부를 위하여

  • 홍성군의 ‘자산 클러스터링’ 및 시너지 기반 프로모션 모델은 신규 관광 투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모범 사례로 널리 채택되어야 한다.
  •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은 영주시의 가격 전략에서 보듯이 강력한 지역 이용자 기반을 구축하는 데 달려 있다. 외부 관광객 유치에만 집중해서는 안 된다.

6.3 미래 시장 동향

  • 지속 가능성: 미래의 프로젝트는 단순한 건설을 넘어 지속 가능한 운영까지 고려하는, 더욱 강력한 환경적 정당성을 입증해야 할 것이다.
  • 디지털 통합: 2024년 개장 시설에서는 두드러지지 않았지만, AR/VR과 같은 기술의 통합 28은 차세대 시설의 핵심적인 차별화 요소가 될 것이다.
  • 연중 운영 가능성: 모든 시설은 계절성이라는 도전에 직면한다. 재정적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미래의 설계와 비즈니스 모델은 연중 내내 방문객을 유치할 수 있는 실내 요소나 프로그램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참고 자료

  1. ‘선샤인 밀양 테마파크’ 개장 기념 페스티벌 4∼6일 개최 – 연합뉴스,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0503069200052
  2. 영주에 103개 코스 갖춘 ‘어드벤처 캐슬’ 개장 – 매일신문,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imaeil.com/page/view/2024091811194746699
  3. 이월드 – 나무위키,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C%9D%B4%EC%9B%94%EB%93%9C
  4. 선샤인 밀양 테마파크 농촌테마공원시범운영 오픈기념_LIVE 최현석세프의 쿠킹쇼 – 웰로,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welfarehello.com/community/hometownNews/6f8d31b0-5510-490a-adb4-ae0dbd640705
  5. “모험 속으로”… 광주학생교육원, ‘어드벤처 챌린지93’ 운영 – 한국일보,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61909150003081
  6. 광주학생교육원, ‘어드벤처 챌린지93’ 개장 – Daum,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v.daum.net/v/20250618161708619?f=p
  7. 국내 최대 모험활동시설 ‘어드벤처 챌린지 93’ 개장 – 광주노컷 – 노컷뉴스,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mgj.nocutnews.co.kr/news/6356741
  8. 국내 최대 모험활동시설 ‘어드벤처 챌린지 93’ 개장 – 노컷뉴스,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nocutnews.co.kr/news/6356733
  9. 국내 최대 규모 “어드벤처 챌린지93”, 화순에 개장 – 로컬엠뉴스,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localm.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2012
  10. 화순군문화관광재단,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hfct.or.kr/
  11. 새로운 코스 추가한 화순 적벽투어 3월 23일 재개 – YouTube,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lBfODcsWXsY
  12. 미처 몰랐던, 그러나 너무 감동했던 화순 여행지 추천 Top 5 – YouTube,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2ScoAxoCOmQ
  13. 영주 어드벤처 캐슬 오픈 운영중,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adventure.kr/?c=6/192&p=5&uid=4276
  14. 영주 어드벤처 캐슬 오픈 운영중,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adventure.kr/b/bbs02/4276
  15. ‘영주 어드벤처 캐슬’ 개장…입장료 할인 및 경품 이벤트로 관광객 맞이 – 경인투데이뉴스,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m.ktin.net/63219936
  16. 고공에서 즐기는 익스트림 레포츠…’영주 어드벤처 … – 영주시민신문,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y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9473
  17. ‘영주 어드벤처 캐슬’ 개장…입장료 할인 및 경품 이벤트로 관광객 맞이 – 메이저뉴스,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majornews.co.kr/news/view/1065579700631321?dt=m
  18. [영주 가볼만한 곳] 아찔한 18m 높이의 ‘영주 어드벤처 캐슬’ – 영남일보,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40926010003216
  19.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 영주 가볼만한곳, 영주 어드벤처 캐슬 | 경상북도 – 웰로,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welfarehello.com/community/hometownNews/6f2b4639-ec27-4b26-8f30-87cd135db47d
  20. 충남 홍성 네트어드벤처 7월 오픈 예정,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adventure.kr/?c=6/192&p=22&uid=3893
  21. 충남 홍성 네트어드벤처 7월 오픈 예정,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adventure.kr/?c=6/192&p=16&uid=3893
  22. 충남 홍성 네트어드벤처 7월 오픈 예정,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adventure.kr/?c=6/192&p=11&uid=3893
  23. 남당항 네트어드벤처, ‘홍성스카이타워’ 개장 기념 할인 행사 실시,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73258
  24. 남당항 네트어드벤처, ‘홍성스카이타워’ 개장 기념 할인 행사 실시 – CRS NEWS,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www.crs-news.com/32900
  25. 홍성군 남당항 네트어드벤처, ‘홍성스카이타워’ 개장 기념 할인 – 충청뉴스,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cc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4354
  26. 남당항 네트어드벤처, 한국관광공사 선정 5월 추천 여행지로 선정 – 트래블아이,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traveli.net/news/view.php?no=10499
  27. 홍성 남당항 네트어드벤처, 관광공사 5월 가볼 만한 곳에 선정 – 연합뉴스,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0501042300063
  28. ‘AR·VR’ 접목해 미스터리 사건 풀어가는 日 테마파크, 2024년 봄 개장, 9월 13, 2025에 액세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0977

추천

더 챌린지